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남대소개 역사 앞에 당당하고 자랑스런 전남대학교

전남대, 과기부 국가지정연구실(NRL) 3개 신규 선정

작성자홍보실
작성일2007.07.03 16:34 조회352
첨부파일 #1김낙성 교수.JPG
첨부파일 #2백명기교수.jpg
첨부파일 #3이동원 copy.jpg

전남대, 과기부 국가지정연구실 3개 신규 선정

김낙성 교수, 파골세포 조절유전자 발굴 및 골질환제어기술 개발

백명기 교수, 한우 고급육 생산위한 영양시스템 생물학 기술 개발

이동원 교수, 질량분석기 집적화된 다기능 원자현미경시스템 개발 연구 수행




 전남대학교가 과학기술부의 국가지정연구실 사업에서 3개 과제에 선정됐다.

 과학기술부는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육성해야 할 핵심 기술 분야 우수 연구실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국가지정연구실(NRL)을 선정해 최장 5년간 지원해주고 있다.


 전남대학교에서는 ▲김낙성 교수(의과대학 약리학교실)의 ‘파골세포 조절유전자 발굴 및 골질환 제어기술 개발’ 연구 ▲백명기 교수(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공학부)의 ‘한우 고급육 생산을 위한 영양시스템 생물학 기술 개발’연구 ▲이동원 교수(공과대학 기계시스템공학부)의 ‘질량분석기가 집적화된 다기능 원자현미경 시스템 개발’ 연구가 2007년도 NRL 신규 지원 과제로 선정돼 각각 최장 5년간 9억9천6백만원 ~ 10억4천만원을 지원받는다.


 김낙성 교수는 파골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새로운 세포 신호전달 체계를 확립하고, 중요 전사조절인자와 파골세포 표적유전자를 발굴한다. 또 골질환 동물모델을 이용해 발굴된 신규 파골세포 조절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골 질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원천기술을 개발한다.

 이 연구를 통해 김 교수는 골대사 조절 유전자 발현에 관련된 신호전달체계를 확립해 약물유전체분야에 미래 원천 기술정보를 제공하고 골대사 조절 기전을 확립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이와 함께 다양한 부작용을 갖고 있는 기존의 골다공증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효용이 높은 새로운 개념의 대체 골질환 치료제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미래 신약 개발의 핵심기술을 제공할 계획이다.


 백명기 교수는 영양시스템생물학 기술을 활용해 한우의 육질을 좌우하는 마블링(근내 지방도)을 증진시킬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한우 고급육 생산기술을 확립함으로써 한우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게 된다. 거세가 마블링을 증진시키는 요인을 규명하고, 영양소 조절 모델 연구 등을 통해 영양소 대사 조절과 영양소 신호전달 조절에 관여하는 마블링 조절물질을 발굴하는 한편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비거세 수소의 마블링 증진방안을 모색한다.

 마블링을 극대화시킬수 있는 영양소 조절 방법을 고안하고, 이를 근거로 고급육 생산용 사료를 개발한다. 특히 고급육 생산을 위한 새로운 분자육종모형 모델링을 개발하고, 고급육 생산 사양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한우의 마블링 수준을 세계 1위 수준으로 높이는 것이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다.


 이동원 교수는 원자구조와 화학적 성분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도록 질량분석기를 집적화한 융합형 원자현미경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와 관련된 원천기술을 확립하게 된다. 신개념 나노계측 장비 기술을 이학 및 공학 분야에 적용시켜 원자스케일에서의 화학적․물리적 결합과 관련한 새로운 현상을 규명하는 것도 연구 목표 중 하나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원자현미경처럼 간단한 원리로 원자구조를 분석해낼 뿐만 아니라 화학적 성분을 3차원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물리, 화학, 공학 등 기초 연구 분야를 비롯해 차세대 반도체 산업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나노 반도체 및 구조체를 경제적이고 신속하게 대량으로 분석․조합해낼 경우 급속한 성장이 예상되는 나노기술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대외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젊은 팀으로 경력에 비해 매우 탁월한 연구결과를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를 받은 이 교수는 2007년 선정된 과제 중 최연소(36세) 연구책임자이다.


 이번 신규 사업 선정에 따라 전남대학교내의 국가지정연구실은 총 8개로 늘어났다.



담당부서 : 대외협력과 (대학본부 9층) Tel : 062-530-113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