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대학·대학원 시대를 앞서가는 혁신교육

환경에너지공학과

오늘날 환경문제 해결은 특정지역이나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니고 지구촌 전체의 커다란 공동과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하여 1992년도에 신설되었다.

환경에너지공학(구 환경공학)은 수질ㆍ대기ㆍ폐기물공학, 환경과학, 응용생물공학, 지속 가능한 기술의 개발, 나노기술, 에너지 시스템 등을 주도하는 핵심 분야이다. 또한, 기후변화대응기술, 에너지 및 소재산업 등의 관련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면서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문 분야이다. 학과에서는 산업체 수요 중심의 교육을 위해 환경과 에너지 기술을 상호 융합할 수 있는 고급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국제화 시대를 맞아 공학교육에 대한 국제 표준화 작업으로 ABEEK 인증을 받아 모든 졸업생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환경공학 엔지니어로 양성하고 있으며 다음의 교육목표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 인성과 소양성을 겸비한 공학도 양성
  • 자연과학의 기본원리에 대한 이해력 증진
  • 공학적 기초 능력의 배양
  • 현장 중심의 전문 엔지니어의 양성
  • 환경오염방지공정 설계능력의 배양

취업 및 진로

정부기관 외
환경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의 정부기관, 도시철도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국환경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광해관리공단, 한국에너지관리공단, 한국광물자원공사 등 국영기업체,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주), 한국전력거래소, 한국서부발전(주), 한국남동발전(주), 한국남부발전(주), 한국동서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등의 전력산업분야
기업체
대기업의 환경관련부서 및 건설부서, 엔지니어링 회사, 영향평가업체 등
연구소
국공립 및 민간기업체 등의 연구기관
기타
국내·외 대학원 진학, 환경관련 기자 등

취득가능 자격증

대기환경기사, 소음진동기사, 수질환경기사, 폐기물처리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생물분류(동·식물)기사, 토양환경기사, 광해방지기사, 토목기사, 화공기사, 화약류제조기사 외 토목, 건축, 광업자원, 국토개발, 화공, 해양, 교통 등의 자격증 취득이 가능

학과 사무실 전화번호 및 홈페이지

  • 주소 : (61186)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공과대학 3A-203호)
  • 전화번호 : 062-530-1860
  • 홈페이지 : http://eee.jnu.ac.kr